불확정성 원리

2012. 2. 21. 11:19
몇 주 전 저널클럽 시간에 연구실의 다른 사람이 한달 전쯤에 화제가 됐던 불확정성 원리 실험에 대해 발표했다. 실험 그 자체에 더해서 마사나오 오자와가 2003년에 발표했던 수정된 불확정성 원리에 대한 이론 논문에 대해서도 이야기를 했는데, 듣다 보니 적어도 그 결과는 그리 어렵지 않으면서도 많은 사람들이 재미있어 할만한 내용이어서 정리해보았다.

--
ε(X) η(P) ≥  hbar / 2

하이젠베르크가 1927년에 발표한 불확정성 원리는 원래 측정 오차 ε와 상태 교란  η 사이의 관계에 대한 식이었다. 예를 들어 전자의 위치 X를 광자로 측정하는 경우를 생각해보자. 파장이 짧은 광자를 쓰면 전자의 위치를 더 정확히 결정해서 측정 오차를 줄일 수 있지만 그만큼 전자의 운동량 P는 더 많이 교란된다. 파장이 긴 광자를 쓰면 운동량의 교란은 줄일 수 있지만 그 대신 위치의 측정 오차는 커진다.

이 관계식이 원래 전자가 어떤 식으로 존재하는 지에 대해서는 이야기하지 않는다는 점을 주목하자. 저 식만 놓고 보자면 전자가 특정한 위치에 특정한 운동량을 가지고 존재할수도 있다. 다만 우리가 두 값을 동시에 측정할 수만 없을 뿐이다.

하이젠베르크는 전자가 가우시안으로 공간상에 퍼져있는 특정한 상태에 있다고 가정하고 이 관계식을 증명했다. 일반적인 상태에 대해서는 증명을 하지 못했는데, 이는 아직 측정이란 것을 어떤 모델로 다뤄야 할 지에 대한 이론이 충분히 개발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사실 측정은 커녕 양자 역학 자체도 잘 정립이 안 되어 있던 시절이었다.

σ(X) σ(P) ≥  hbar / 2

그러던 중에 1929년에 로버트슨이라는 물리학자가 새로운 형태의 식을 내놓았다. 이 식은 측정과 그에 의한 교란을 이야기하는 대신에 물리량 자체의 분산 σ를 다루고 있다. 이 식에 따르자면 굳이 측정을 하지 않더라도 원래 전자의 위치의 분산과 운동량의 분산의 곱은 어떤 값보다 항상 커야 한다. 즉, 전자는 더 이상 특정한 위치에 특정한 운동량을 가지고 존재할 수 없으며 위치와 운동량 공간에서 어느 정도 이상으로 퍼져있는 상태로만 존재할 수 있다. 전자가 특정한 위치에 존재할 수도 있지만 대신 운동량의 불확정성은 무한히 커져야 한다. 특정한 운동량을 가질 수 있지만 그러면 전자가 전 공간에 균일하게 분포해서 더 이상 어느 위치에 있다고 말할 수 없다.

이 새로운 불확정성 원리의 식과 그 의미는 곧 물리학계에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졌다. 우리는 전자의 위치와 운동량을 동시에 측정할 수가 없는데, 이는 측정 과정에서 불가피하게 생기는 교란때문이 아니고 원래 전자가 그렇게 생겨먹었기 때문이다. 더 이상 물리학자들은 불확정성 원리를 이야기할 때에 측정과 그 교란을 말하지 않게 되었고, 오자와에 따르면 하이젠베르크도 점차 이 해석을 받아들였다고 한다.

(흥미롭게도 초기의 이 혼란은 아직까지도 그 자취가 남아있다. 일반물리 수준에서는 불확정성 원리를 이야기할 때에 꼭 측정과 교란 이야기를 하지만 전공 수준으로 가면 더 이상 그 이야기를 중요하게 다루지 않는다.)

하지만 여전히 측정을 할 때에 일반적으로 얼만큼 교란이 일어날지는 생각해볼만한 문제였고, 오자와가 2003년에 한 일이 바로 측정 오차와 교란 사이의 좀 더 일반적인 관계식을 찾는 거였다. 위치와 운동량을 생각한다고 하면 새로운 불확정성 원리는 다음과 같다.

ε(X) η(P) + ε(X) σ(P) + σ(X) η(P) ≥  hbar / 2

이 식에 따르자면 측정 오차와 교란된 정도 사이의 곱이 하이젠베르크가 생각했던 것보다 훨씬 작아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원래 위치가 잘 고정된 전자였다면 (σ(X)가 아주 작고 σ(P)가 아주 컸다면) ε(X)와 η(P)의 곱이 hbar / 2보다 훨씬 작아질 수 있다. 그러니까 원래 운동량이 잘 정의되지 않는 전자였다면 위치를 정확하게 측정해도 운동량이 별로 교란되지 않는 것이다. (하지만 여전히 운동량은 많이 불확정적이었기 때문에 정확히 정할 수 없다.)

새로운 불확정성 원리의 식에서 수정된 것이 하이젠베르크의 처음 불확정성 원리이지 로버트슨의 식이 아니라는 점을 염두에 두자. 새로운 식 때문에 변한 건 측정과 그 교란의 관계일뿐, 양자역학적인 상태가 원래 가지고 있는 불확정성은 아니다.

그리고 최근에 화제가 됐던 일은 저 새로운 관계식을 실험적으로 증명한 것이었다. 실험에서는 전자의 위치와 운동량 대신에 중성자의 스핀을 사용했는데, 위치와 운동량이 동시에 정해질 수 없는 것처럼 서로 직교하는 방향의 스핀도 동시에 정할 수 없다. 특정한 방향으로 스핀을 준비한 뒤에 임의로 측정오차를 둬서 측정을 하고, 그 후에 얼마나 교란이 되었는지를 측정해서 둘 사이의 곱이 하이젠베르크의 예상보다 더 작아질 수 있다는 것을 보였다고 한다.

아무튼 그 실험과 이론 일 모두 아주 기초적인 것을 잘 파고 들어서 많은 사람들이 재미있어 할만한 좋은 결과를 냈는데, 언론에서는 너무 자극적으로만 다뤄진 것 같아서 아쉽다.

--
세줄 요약

1. 양자역학적인 대상은 애초에 불확정적으로 존재하고 있다. 이건 측정하고는 상관이 없다. 처음에 하이젠베르크가 생각한 불확정성 원리는 이거랑은 좀 달랐지만 곧 이 생각을 따르게 되었다.
2. 하이젠베르크는 측정 오차를 줄이면 줄일수록 상태가 많이 교란이 될거라고 생각했다. 특별한 경우에서는 이 말이 맞다.
3. 일반적인 경우를 봤더니 원래 많이 불확정적이면 측정을 정밀하게 해도 별로 교란이 되지 않는것 같더라. 최근에 실험적으로 이 말이 맞다는 걸 확인해서 큰 화제가 됐다. 
Posted by tuckoo
,

젊은 예술가의 초상

2011. 2. 24. 21:05
잠깐 머리를 식히려고 도서관에 갔다가 잠깐 봤던 젊은 예술가의 초상이 자꾸 머릿속에 떠오른다. 학부 졸업즈음에 읽을 때에는 디달러스가 막 성인이 되어가는 2, 3장이 눈에 들어왔는데 이제는 예술가로서의 삶을 추구하기 위해 고국을 떠나는 마지막 장이 눈에 들어온다. 다른 걸 버리고 자신이 추구하는 바를 위해서 자기 유배의 길을 떠나는 모습이 멋졌다.

저렇게 살 수 있다면 무척 근사하겠지. 다른 사람의 삶을 모방하는 것은 부끄러운 일이 아니다. 일단 모방할 수도 없다. 3년 위 대학 선배의 삶이라면 지나치다 싶게 비슷하게 갈 수도 있겠지만 100년 전 아일랜드 사람의 삶을 무슨 수로 똑같이 따라 한단 말인가. 이건 모방이 아니고 그냥 모티브를 따오는 것이다.

모방이던 모티브를 따오는 것이던 한다고 해보자. 그런데 문제가 있다. 디달러스가 한 일의 핵심은 떠나는 것이 아니고 예술가의 길을 가기로 확신을 가진 것이다. 내가 어떤 상황에 있건 글쓰는 것이 의미가 있는 일이란 걸 확신하고, 스스로가 가치있는 글을 쓸 수 있음을 확신한 게 핵심이다. 자기 유배니 떠남이니 이런건 따라할 수 있다. 하지만 그 확신은 따라할 수 없다.

그래서 어떡해야 하나.
Posted by tuckoo
,

아이겐벡터

2011. 2. 16. 16:28
행렬은 어떤 벡터를 곱하던 간에 도도한 자세로 제멋대로 왜곡해서는 다른 벡터를 내놓곤 한다. 하지만 유독 특정한 몇몇 벡터에 대해서는 그 도도했던 모습은 온데간데 없이 사라지고 순진하기 그지없는 태도로 들어온 벡터를 그대로 내어놓는다. 보고 있노라면 수줍어 보이기까지 하는 그 무방비함이 걱정스러울 정도이다.
Posted by tuckoo
,
무슨 마가린 이름처럼, "I can't believe he is still confused about those things!! 'o' " 정도로 제목을 붙일 수 있는 블로그가 되어가는 것 같다. 어제는 전자-전자간 상호작용의 기본인 하트리와 익스체인지 항에 대해서 헷갈렸다.

그냥 two-body 해밀토니안의 기대값을 구한다고 해보자. 이 때 익스체인지 항이 있다고 해서 그 기대값이 number 연산자만의 기대값의 곱으로 써지지 않는다는 건 아니다. 헷갈렸던 것의 핵심은 V에서 딱 하나의 k1, k2, q값만 생각하면서, 그 V_{k1, k2, q}의 기대값에 하트리 항가 익스체인지 항이 다 있을거라고 생각했던 점이었다. 그러다 보니 서로 다른 k1, k2에 대해 k1에서 만들고 k2에서 없애는 것의 기대값이 있어야만 익스체인지 항이 있을거라고 착각했다.

사실은 하트리 항과 익스체인지 항은 서로 다른 q에 대해서 나오는 것으로, q=0일 때가 하트리 항, q=k2-k1일 때가 익스체인지 항에 해당한다. 어쨌든 두 경우 모두 기대값은 n_k1과 n_k2의 곱으로 써진다, 고전적인 경우처럼. 다만 그 에너지 값이 달라질 뿐이다.

물리적으로 좀 이야기를 해 보자면, 고전적으로는 전자가 여기 있으면 여기 있는거고 저기 있으면 저기 있는거니까 전자가 상호작용하는 세기는 하나가 어딨고 다른 하나가 어디있는 지에 따라 결정된다; 즉, 전자의 위치를 나타내는 변수 두개로 써진다. 그런데 양자역학으로 가면 그 하나라고 했던 게 사실은 두개니까 - 브라와 켓 - 전자의 상호작용은 변수 네 개로 써지고 - 전자 각각의 브라와 켓이 따로 놀 수 있으니까 - 여기 있는 브라와 켓, 저기 있는 브라와 켓이 각각 곱해질 수 있지만 여기 있는 브라와 저기 있는 켓, 저기 있는 브라와 여기 있는 켓이 곱해지는 새로운 가능성이 생기는 거다. 이게 기본적으로 양자역학적인 익스체인지 상호작용인거고.

1차원 계에서는, 약간의 부가조건만 만족하면 신기하게도 상호작용 V가 기대값뿐만 아니라 연산자 수준에서 density operator로만 쓴 모양과 동일하다. 그래서 그 density operator를 보존 연산자 하나로 쓰면 원래 페르미온 연산자 네 개로 써지던 상호작용을 보존 연산자 두개로 써서 완전히 해밀토니안을 풀 수 있는데, 이게 바로 Bosonization이다.
Posted by tuckoo
,

양자화와 자유도

2011. 1. 23. 14:29
고전적인 계를 양자화할 때 자유도가 어떻게 변하는지에 대해 헷갈렸다. 원래 연속적인 값을 가지던 것이 불연속적인 값을 가지게 되었으니 자유도가 줄어들 거라고 오해했다. 사실은 중첩 현상때문에 양자화를 하면 시스템의 자유도가 크게 증가한다.

이 문제는 단진자를 양자화하는 경우만 잘 생각해봤어도 명백한 거였는데 쓸데없이 오래 고민했다. 고전적인 경우에는 계를 2개의 실수만 가지고 표현할 수 있지만 양자화를 하고 나면 계를 표현하기 위해서 무한대 개의 복소수가 필요하다.

장이론으로 간다면, 고전적인 장 이론이 아이겐모드 개수만큼의 변수로 표현이 된다면 그걸 양자화시키면 아이겐모드의 개수와 0보다 크거나 같은 정수의 개수의 곱만큼의 변수가 필요하다. 고전적인 장 이론의 자유도와 단진자를 양자화한 경우의 자유도를 비교하는 실수를 한 것이 헷갈렸던 이유였다.

이런 것을 '양자역학에서는 고전적으로는 불가능한 fluctuation이 가능하다.' 라고 이야기할 수 있을 것 같다.
Posted by tuckoo
,

We'll meet again

2010. 1. 22. 02:50



언젠가 다시 만나게 되겠지요.
Posted by tuckoo
,

MOSFET

2009. 9. 8. 13:29

손담비와 애프터스쿨이 부른 아몰레드를 듣고 놀랐던 점은 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라는 딱딱한 단어의 약어를 가지고도 저렇게 근사한 노래가 나올 수 있다는 거였다.

그리고 곧 이런 생각을 했다. 그렇다면 딴 약어를 가지고 못 할 건 뭐란 말인가.
이를테면 MOSFET, Metal-Oxide-Semiconductor Field Effect Transistor 처럼.

값싸지 그 누구보다 더 싸게 더욱
값싸지 그 누굴 만드는 것보다
더 싸지 비교 조차 할 수가 없어
Cheap like silicon

내 강렬한 단순함에 눈이 부실지 몰라
IC를 만들 길이 활짝 열릴지 몰라
난 참으로 단순한 boy. just metal, oxide and Si
(MOSFET) To be made in few steps

MOSFET, MOSFE-SFE-SFET, MOSFET 난 너무 작아
MOSFET, MOSFE-SFE-SFET, MO-S-FET

MOSFET, MOSFET, MO-S-FET / I'm so light, girl
MOSFET, MOSFET, MO-S-FET/ Let's roll, Make the Computer!

( 중략 )

(OK Here we go again. Let's go!)

Old Fashioned Vacuum Tube! 너무 크고 뚱뚱해.
Bipolar BJT! 만들기가 복잡해.
난 so so attractive 단가가 저렴해
난 so so so attractive 집적이 용이해.

MOSFET, MOSFE-SFE-SFET, MOSFET 난 너무 작아
MOSFET, MOSFE-SFE-SFET, MO-S-FET
MOSFET, MOSFET, MO-S-FET / I'm so light, girl
MOSFET, MOSFET, MO-S-FET/ Let's roll, Make the computer!
Posted by tuckoo
,

라깡 놀이

2009. 3. 25. 15:25
1. 트라우마는 1/(z-z0)라는 복소 함수의 z=z0인 점과 같다. 그 점은 함수값이 무한으로 발산하는 점, 즉 너무 고통스럽고 강렬하기 때문에 우리의 일반적인 경험으로는 정의내릴 수 없는 그런 점이다. 이런 트라우마는 그 사람을 본질적으로 변화시키곤 한다. 마치 z0 주변의 각 점들에서 함수는 별다를게 없는 유한한 값을 같지만 그 둘레를 선적분해 보면, 트라우마가 없을 때 선적분 값이 0인 것과는 달리, 2 i pi라는 값이 나오는 것처럼.

2. 휘어진 공간에서는 두 점을 잇는 최단 거리 선, 지오데식은 더이상 직선이 아니게 된다. 예를 들어 수조의 위와 아래에 비스듬하게 위치하고 있는 점을 생각해보자. 물이 차있지 않을 때에는 두 점을 직선으로 잇는 것이 지오데식이지만 물이 반쯤 차서 한 점이 물에 잠기게 되면 수면에서 한번 꺾여서 물 속을 지나는 거리를 줄이는 경로가 지오데식이 된다. 좀 더 연속적으로 휘어져 있는 공간이라면 지오데식은 아주 많이 휘어져 있는 그런 선이 될 수도 있다. 사람의 정신 상태는 이런 휘어진 공간으로 생각할 수 있다. 같은 욕구라도 공간의 휘어진 상태에 따라 완전히 다른 직선으로 나타날 수 있음을 주지해야 한다.

3. 상전이가 일어나는 점에서는 섭동의 상관 길이 correlation length가 무한으로 발산하게 된다. 어떤 지점의 변화가 그 주변의 제한된 지점과만 관계지어지는 닫혀있는 상태에서 한순간 모든 지점이 모든 지점과 관계를 맺는, 무한히 창조적인 열려있는 상태가 되는 것이다. 그리고 우리는 닫힌 상태에서 벗어나서 열린 상태를 거침으로써만이 비로소 전과는 완전히 다른 상으로 변화할 수 있다.

--
아무런 의미는 없는 글들.

이런 건 물리나 다른 자연과학들 보다도 수학에다 가져다 붙여야 제맛인데, 알고 있는 수학이 빤하다 보니 더 근사하게 만들지 못하는게 아쉽다. 하긴, 허수만 가지고도 그렇게 썰을 푸는데 뭐...
Posted by tuckoo
,

(논문이) 안 나와요.

2009. 2. 3. 18:26

내 주위에 하나둘씩 논문이 나오니
언젠가 나도 논문이 나오겠지
막연히 생각하시죠?
생각할 필요 없어요.
안 나와요.

석사 때 빡세게 하면
하나쯤은 나올것 같았죠?
어땠나요?
안 나왔죠?

학회 자주 가서
연구 동향 잘 파악하면 나올것 같죠?
그래도 안 나와요.

결국은 그래도 논문 내고 졸업할 것 같죠?
그래요...
결국 나와요. 걱정 말아요.
근데, 안 나올 사람은 안 나오더라구요.

이 모든게 여러분들 이야기는 아닐거 같죠?
아닐거 같아도
안 나와요..

--
아니 뭐 사실 이렇게까지 저널에 논문 내기가 힘든건 아니지만...
Posted by tuckoo
,
한국 물리 학회에서는 '물리학과 첨단 기술'이라는 잡지를 발간한다. 2008년 12월 호는 '2008 노벨물리학상' 특집으로 수상한 업적에 대한 여러 교수님들의 글이 실렸었다. 글을 쓰신 분들은 대부분 입자 물리를 전공하신 분들이었지만 응집물리 쪽을 전공하신 박권 교수님의 글도 한 편 실려있었다.

이번에 노벨상을 받은 것은 입자 물리에서 나타나는 대칭성 붕괴에 대한 일이었지만 대칭성 붕괴 자체는 다양한 물리 현상에서 나타나는 일이다. 박권 박사님의 글은 노벨상을 탄 일 자체를 디테일하게 다루는 대신 초전도체나 강자성체등의 계를 예로 들어 대칭성 붕괴라는 일반적인 현상을 잘 설명해주어서 좋았다.

다행히도 '물리학과 첨단기술'은 특별한 권한 없이 인터넷을 통해 읽을 수 있길래 다른 사람들도 한번 읽어 봤으면 해서 주소를 링크한다.

응집된 물질의 집단행동과 대칭성 깨기

Posted by tuckoo
,